2022년 11월 14일 월요일

부동산 PF위험이란 무엇인가?




요즘 경제 위기로 인해서 많은 부분에서 위기를 겪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다보니 여러가지 경제소식에 귀를 기울이게 되는데요. 

부동산 거래량이 생각보다 나오지 않다보니 정부에서 여러가지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여전히 부동산 PF위험 신호가 포착되고 있는데요. 

이름부터가 생소한 PF위험 신호 과연 무슨 뜻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PF란 무엇인가 



부동산 PF의 약자는 Project Financing 이며 해석하자면 어떤 프로젝트의 사업에 자금을 대는 행위를 뜻합니다. 

PF는 은행에서 해당 사업성을 보고 돈을 빌려주며 이율이 세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다른 담보대출과는 다르게 건설기계, 건설품목 등을 담보물로 설정하고 이후 사업에 실패했을 때 이 모든 것을 넘기면 담보를 모두 갚은 것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많은 건설사들이 선호하는 대출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는 한국형에 가까운 모습이고 원래는 수익을 보고 무담보로 대출해주는 형태입니다. 즉, 건설사가 펼치는 사업을 은행에서 충분히 심사숙고해서 빌려주는 것이 원래 의미인데 은행에서 사업에 대한 분석능력이 떨어지니 본래 의미와는 거리가 멀어진게 현실입니다.




 부동산 PF위험이 생긴 이유는? 



단어의 뜻이 프로젝트 자금 흐름을 이야기 하는 것이니 만큼 위험하다는 신호를 뜻하는 것입니다. 왜 위험해진 것일까요?

바로 지난 해의 <부동산 개발 호황> 때문입니다. 

저금리 시대에 주식도 호황이었지만 낮은 금리에 대출을 받아 부동산 투기 뿐 아니라 개인 주택 등을 매매하는 일이 많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자금 사정이 나아진 부동산 매매자가 많아지면서 은행 또한 이율이 세고 큰 자금이 융통되는 이득이 되는 사업이기도 했으며 신용등급 A2건설사들은 앞다투어 수익을 얻기 위해 분양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미국의 빅스텝이 시작됐죠.

이러한 미국의 조처로 인해 기존에 대출 받았던 PF들은 전부 고금리화로 바뀌었고 고금리 기조로 인해 부동산 시장 마저 얼어붙다보니 자연스레 부동산 수요가 없어진 A2 건설사들은 그대로 은행에 돈을 갚지 못하면서 그대로 무너지게 되는 상황을 맞이한 셈이죠. 





 만약 PF위험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이런 상황에서 PF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그대로 A2 건설사들은 주저앉게 되고 대량 실업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중도에 멈춰선 건설현장들은 그대로 흉물처럼 남겨지게 되겠죠.

여기서 문제는 대량실업과 얼어붙은 부동산 경기는 쉽게 해결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입니다. 사회적으로 크나큰 문제와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FTX 관련주, 가상화폐의 전망은
⏹️ HMR 관련주, 주가 상승 가능할까

침수차 정보 확인하기, 차량 번호판으로 조회 가능





지난 서울의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차량이 도로에 있다가 잠기는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그 결과 올해 침수된 차량만 해도 1만 8289대로 상당히 많은 편입니다.

하지만 중고차 구매를 앞둔 이에게는 고민이 있었으니 이 침수차량 중 한대가 나에게 걸리면 어쩌나하는 생각이 있을 것입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침수차량을 확인하는 방법과 자동차 관리 정보 시스템 사용법에 대해서 안내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침수차량 확인하는 방법 



1) 안전벨트를 끝까지 당겨본다 
2) 스페어 타이어 공간 확인
3) 차량 내부에 비릿한 흙냄새가 나는지 확인
4) 엔진룸 흙이 묻었는지 확인
5) 시트 아래쪽과 프레임에 곰팡이나 녹이 슬었는지 확인
6) 퓨즈박스를 확인해보기
7) 자동차 관리 정보 시스템 이용하기




 자세한 내용 



1) 안전벨트를 끝까지 당겨야 하는 이유

우선 침수차량을 새 중고차량으로 둔갑시키기 위해선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일단 겉보기에 괜찮은 수준으로만 해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비용문제로 뒷좌석 안전벨트까지 신경쓰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뒷좌석 안전벨트까지 끝까지 뽑아서 확인해보도록 합니다.

안전벨트에는 흙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조금이라도 물이 묻어있거나 흙을 닦아낸 흔적이 있다면 이는 100% 침수차량이라고 확신할 수 있습니다.

2) 스페어 타이어 공간 확인

이 역시 평소에 먼지가 들어갈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 흙이 조금이라도 있거나 닦아낸 흔적이 있다면 침수차량이라고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3) 차량 내부에 비릿한 흙냄새가 나는지 확인

차량 내부에 비릿한 흙냄새가 난다면 이 역시 잘 못된 것입니다. 평소에 비가 펑펑 내려도 차 안에서 비 냄새가 나는 것을 보았습니까?

간혹 시트나 발판에 묻은 습기가 올라오는 일은 있어도 히터나 에어컨에서 비 냄새가 난다는 것은 침수차량을 넘어 불쾌감을 선사해주기 때문에 애초에 그런 차량은 구매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여담으로 차량내부에 있는 철 이음새 부분이 녹슬지 않았는지 꼼꼼히 확인해보도록 합니다. (애초에 이 냄새가 난다면 그냥 확인조차 안해도 됩니다.)



4) 엔진룸에 흙이 묻었는지 확인

엔진룸은 대부분 닦아낼 것입니다. 그래서 발견하기란 쉽지 않을 것 같고 차량에 익숙치 않은 분은 침수흔적을 봐도 그냥 차 타다보면 그럴 수도 있지라고 하면서 넘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위, 아래에 있는 체크리스트를 따라 추가로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 시트 아래쪽, 녹이나 곰팡이 있는지 확인

시트 아래쪽 역시 녹이 슬거나 곰팡이가 슬기 가장 어려운 곳입니다. 

물이 진짜 들이닥치지 않는 이상 10년된 차량도 녹이 슨 곳 없이 멀쩡한 경우가 대부분인데 녹이나 곰팡이가 슬었다면 이는 가차없이 침수차량으로 의심해봐도 좋습니다.


6) 퓨즈박스를 확인

퓨즈박스는 차량 내부에 있는 전자장치를 작동케하는 장비입니다.

그래서 침수가 되면 바로 고장이 날 수 밖에 없습니다. 특별히 엄청오래된 차량이 아니면 거의 교체를 하지 않기에 퓨즈박스에 나사가 새것으로 교체되어 있거나 한다면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7) 자동차 관리 정보 시스템을 확인해본다

번호판 조회로 간편하게 침수차량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더 깊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차량 관리 정보 시스템 소개 



1) 해당 사이트로 진입을 합니다. 

2) 중고차 침수차량 조회를 클릭합니다.

3)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대부분 카카오톡 인증서를 많이 보유하고 있을테니 <간편인증>을 클릭해 스마트폰으로 인증을 합니다. 

4) 회원가입이 되지 않았다면 회원에 가입을 하게 됩니다. 



약관에 동의를 하신 후 가입은 그대로 진행하시고 한번의 인증서 인증 과정을 더 거친 뒤 회원정보를 입력한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5) 가입을 완료한 후 다시 카카오 인증서 확인 과정을 거치게 되면 이제부터 차량을 등록하라는 이야기를 합니다. (이는 차량을 구매할 때가 아니라 미리 해둬야 할 것 같습니다.)


6) 이제 사이트 전면에 보시면 <주요서비스>항목에 중고차 침수정보 조회를 클릭해봅니다. 



7) 여기에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침수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간편하지만, 꼭 간편하지 않은 침수차량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가입을 미리 해둔다면 수리이력까지도 전부 알 수 있어 사고차량에 대한 구분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 RPM 떨림 현상이 일어난다면?
⏹️ 엔진오일을 언제 교체하는 것이 좋을까?
⏹️ 사고차량 구분 하는 방법

2022년 11월 13일 일요일

고금리 예금 상품 추천, 하루만 맡겨도 4.2%?





미국 연준의 계속되는 금리인상 빅스텝으로 인해 사실상 불확실한 시장인 주식투자와 같은 시장이 얼어붙는 대신 활기를 띄고 있는 시장이 하나 있죠. 그것은 바로 은행의 고금리 상품입니다. 

오늘은 은행별 고금리 상품이 무엇이 있는지 아래에서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은행별 고금리 판매 상품은 




<중도해지 정기예금>

하나저축은행 [내맘대로 중대해지 정기예금] - 연 4.2%
다올저축은행 [Fi 자유해지 정기예금] - 연 4.1% (대면) 연 4.2% (비대면)
우리금융저축은행 [더 마니드림정기예금] - 연 4.1%
OK저축은행 [중도해지OK 정기예금 369] - 연 3.3%

<파킹통장>

케이뱅크 [플러스 박스] 연 2.7%
카카오뱅크 [세이프 박스] 연 2.6%
토스뱅크 [토스뱅크통장] 연 2.3%

<6개월 통장>

스타저축은행 '정기예금'
조은저축은행 '정기예금' - 연 5.8%

<만기 12개월 이상 통장>

IBK저축은행 [참기특한 정기예금]
OSB저축은행 [인터넷 OSB회전식정기예금]
대신저축은행 [스마트회전정기예금]
키움저축은행 [SB톡톡회전식정기예금] - 연 6%




 원할때 언제든지 해지하고 싶다면 중도해지 



위에 있는 금융상품을 통틀어 봤을때 가장 높은 금리를 주는 예금은 1년만기 예금입니다. 자금에 여력이 없는 분은 중도에 해지하여도 금리를 챙겨가고 싶다면 중도해지통장을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시면 하나같이 언제든지 해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루를 넣고 뺀다 하더라도 약정금리를 제공합니다. 




 금리는 높게, 입출금가능한 파킹통장 



높은 금리의 혜택은 그대로 가져가면서 입출금도 가능한 CMA와 유사한 파킹통장도 유행입니다. 

일전에도 운영해왔던 카뱅의 세이프 박스, 토스의 토스뱅킹통장 등에서는 언제든지 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정기예금의 6할에 해당하는 금리를 챙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케이뱅크는 최대한도 3억원, 토스뱅크는 최대한도가 없으며 카뱅은 최대 1억원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



 1금융권은 아직 매력이 없어 



저축은행에 비해 1금융권은 연 금리가 끽해봐야 4.7%정도로 저축은행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1금융권 거래횟수에 지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통장쪼개기를 통해 분산 예금을 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FTX 거래소 파산, 환불 가능할까?

FTX 관련주, 가상화폐의 전망은





이번에 터진 FTX 파산 관련 소식에 모두들 놀란 가슴을 부여잡아야 했는데요. 그 이유는 FTX는 가상화폐 거래소 중에서도 3-4위를 다투는 회사였기 때문입니다. 

모두가 신뢰하고 있었던 기업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다니 정말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아닐 수 없는데요. 

그러면 내 자산이 들어있는 거래소는 괜찮은건가라고 생각하실 수 있기에 FTX 관련주 소식과 가상화폐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비덴트 






비덴트는 FICS 디스플레이 및 관련 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로써 가상화폐 관련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긴 하지만 자산은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의 일부 지분을 획득하고 있기에 분류된 것입니다. 





비덴트 재무제표를 보면 그렇다할 상승조짐은 하나도 없습니다. 우선 재무상 2분기에 상당한 손실을 보았는데 이는 <파생상품 471억원>을 대거 손실을 보았기 때문에 평가손익이 재무제표상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가 됩니다. 

당시 회사에서는 별 문제가 아니라며 넘어가려고 했지만 이후 나오는 <CB> 사태가 더해져 당분간 재정회복이 쉽지 않아보입니다. 




시장에서도 이를 반영한 나머지 9월부터 지속적으로 내림세를 보이다 결국 10월 11일 <빗썸과 관련한 경영진의 횡령혐의>가 지목되어 주가가 큰 폭으로 요동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후에 잠시 회복세에 접어들었지만 FTX사태로 인한 여파로 당분간 오름세에 접어드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우리기술투자 





FTX 관련주 우리기술투자는 종금사로써 벤처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투자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 중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의 지분을 획득하고 있기에 관련주로 분류되었습니다.





우리기술투자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2분기에 엄청난 손실을 본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유는 업비트, 두나무의 손실로 인해 생성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우리기술투자 주가를 살펴보면 관련 소식이 나왔던 날에는 최저가인 4315원을 기록했고 이후에는 다시 반등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FTX 사태로 인한 여파가 그대로 전달되어 장이 시작되는 날부터 하락세로 전환되며 반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으로 FTX 관련주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가상화폐에 대한 전망을 자세히 다룬 글은 아래에 목록에서 이야기를 더 이어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 HMR 관련주, 주가 상승 가능할까
⏹️ FTX 환불 가능할까